안랩이슈 관련 망구성도
궁금한건 못 참지.
오늘 공부한 내용을 그림으로 그려보앟습니다
부정확할수 있으니 태클 환영합니다
"목적지"는 크라브
"목적지2"는 안랙
1 가장 단순한 케이스.(보안이고 뭐고 나 그런거몰라)
브이3깔고 집에서 공유기 통해서 접속하는 케이스
데이터 전송한 위치와 유해프로그램 로그에 우리집 ip잘 나옴
2 vpn유료 결제 (내가 전송하는 데이터는 숨게야지)
이번 사실로 뒤통수 맞은 케이스랄까?
나름 신경 썼는데 구멍이 거기가 아니었어
내컴퓨터에서 작성된 로그는 자~알 전달됨.
비록 데이터 전송 출발지는 조작했지만 소용없다
3 다 뒤통수 맞은걸까? 우연히 회피한 사례도 있을것으로 보임
보안 신경쓰는 기업체 내에서 접속+vpn
보안을 위해 사내망과 공인망을 분리하는 기업들이 많죠
이런데서는 안랩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출발점이 vpn서버
로그상의 ip는 누구를 특정할수 없는 사내망 ip
이런 경우는 vpn업체에 의뢰를 시작으로 역추적해야 하는데
유료 vpn업체에게는 자기 생명과도 가튼 고객 ip제공?
여기서 조까하면 끝
나름 IT쫌 알지만 망쪽은 잘 모릅니다
잘못된 정보는 지도부탁드립니다
그리고
"브이3이 정부 공인 트로이목마네!"